최근 물가의 하향 안정세가 뚜렷해지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어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024년 5월 23일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한 이후 가진 간담회에서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2.3%~2.4%로 내려가는 추세가 잘 확인되면 금리 인하를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었는데요. 6월 물가 상승률이 2.4%까지 내려왔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 인하가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한국이 금리를 먼저 인하하면 생길 수 있는 문제점 등으로 인해 한국은행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어요.
그런데 잠깐, 여기서 말하는 금리가 무엇인지 궁금한 친구들 있나요? 왜 금리를 인상하고 인하하는지, 금리가 오르고 내리면 어떤 일이 생기는지… 들을수록 알쏭달쏭한 ‘금리’ 오늘 제용이가 쉽게 알려줄게요!
금리란 무엇인가요?
•
금리의 사전적 정의는 ’빌려준 돈이나 예금 따위에 붙는 이자 또는 그 비율’ 이예요. 한마디로 ‘돈에 대한 비용’입니다.
•
우리가 따릉이를 1시간 빌릴 때 1000원을 내야 하는 것처럼, 돈을 빌릴 때도 사용료를 지급해야 해요.
•
이 사용료가 이자이고, 원금에 대한 이자의 비율이 바로 금리(또는 이자율)입니다.
◦
예를 들어 친구에게 10만 원을 빌려주고 갚을 때 10만 5000원을 받기로 약속했다면, 이자는 5000원이고 금리는 5%가 되는 거예요.
◦
친구가 10만 원을 쓰는 대신, 그에 대한 비용으로 5000원을 지불하는거죠.
•
금리는 콜금리, 금융채금리, 통화채금리, 회사채금리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돈을 빌리는 사람⋅기업도 제각각이기 때문에 기준이 필요하죠. 이 기준이 되는 금리를 기준금리라고 해요.
•
기준금리는 각 나라의 중앙은행이 정합니다. 우리나라는 한국은행(한은), 미국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물가 안정을 위해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 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요.
•
현재 한국 기준금리는 3.5%, 미국 기준금리는 5.5%를 유지하고 있어요. (2024.07.04 기준)
금리가 변동되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통상 금리와 물가는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의 변동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칩니다. 우리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살펴볼게요.
•
1) 기준금리 인상
•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물가가 하락할 확률이 높아요.
① 경기 침체
◦
기준금리가 오르면, 모든 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아 함께 오릅니다. 대출 금리도 오르죠.
◦
개인과 기업이 돈을 빌리기 위해서 높은 이자를 지불해야 하니 개인과 기업은 대출과 투자, 소비를 줄여요.
◦
이렇게 기업과 소비자들이 돈을 쓰지 않으면 소비 시장이 위축됩니다. 생산이 줄어들면서 일할 사람들이 많이 필요 없게 되죠. 이는 고용 하락 등 전반적인 경기 침체로 이어져요.
◦
그래서 경기가 침체될 조짐이 보이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내려서 대출, 투자, 소비를 유도합니다. 소비와 투자 등이 활발해져 침체된 경기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② 화폐가치 상승
◦
금리가 인상되면 은행 이자도 오르죠. 은행에 돈을 맡기면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으니 소비나 투자 대신 저축을 많이 합니다.
◦
개인이나 기업이 돈을 쓰지 않고 저축하니 은행에 자금이 몰려 시중에 돈이 부족해져요.
◦
서비스, 재화 등에 비해 돈의 양이 부족하기 때문에 수요공급의 법칙에 의해 돈의 가치는 오르고 서비스, 재화의 가격은 낮아지죠. 물가가 하락합니다.
◦
이런 저물가 상태가 지속되면 기업과 소비자들은 투자와 소비를 미래로 미룹니다. 돈의 가치만 높고 다른 재화의 가치는 낮기 때문이죠. 이에 소비가 둔화되어 우리나라 경제 상황이 나빠질 가능성이 커져요.
•
2) 기준금리 인하
•
반대로 기준금리가 인하되면 물가는 오를 확률이 높습니다.
•
돈을 빌릴 때 지급하는 사용료가 낮아지기 때문에, 개인과 기업의 대출과 투자가 늘어나죠. 경기가 활성화됩니다.
•
예금 금리 하락으로 은행에 돈을 맡겨도 이자가 낮으니, 저축 대신 부동산⋅주식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소비가 촉진되어 시중에 도는 돈이 늘어나요.
•
서비스, 재화 등에 비해 돈이 많으면 돈의 가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물건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이런 상황이 이어지면서 물가가 상승해요.
•
현재 한국은행은 2023년 2월 이후 11회 연속 기준금리를 3.50%대로 동결했어요. (2024.07.04 기준)
•
이유는 물가 불안 때문이었는데요. 2024년 4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9%를 기록하며 한국은행의 물가 안정 목표인 2%에 도달하지 못했어요.
•
그런데 2024년 6월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23년 7월 이후 11개월 만에 2.4%까지 내려왔습니다.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2.3%~2.4%로 내려가는 추세가 잘 확인되면 금리 인하를 고려하겠다”고 했었죠. 물가상승률이 2%대에 근접하면서,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금리와 한국 금리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
저번 피드에서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왜 국내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미국 기준금리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
미국 기준 금리가 인상되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도 인상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져 금리 차이가 벌어지면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에요.
•
가장 큰 문제는 외국인 자금 이탈로 우리나라 주식 시장이 휘청일 수 있다는 거예요.
◦
자금은 수익률이 높은 곳으로 이동합니다. 미국 금리가 우리나라 금리보다 높으면, 미국에서의 투자 수익률이 좋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투자된 외국인 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가게 되겠죠.
◦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주식을 매도하고 받은 원화를 달러로 교환합니다. 이때 달러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 원⋅달러 환율이 상승해요.
◦
•
또한 원⋅달러 환율이 1400원에 육박하며 일명 ‘킹달러’ 시기가 지속되고 있는데요.
◦
수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수입 원자재의 가격 부담이 높아지게 됩니다.
◦
이는 전반적인 소비자 물가 인상으로 이어져 한국 경제를 어렵게 만들 수 있어요.
•
2024년 7월 현재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역전 폭은 2%포인트예요.
•
시장에서는 한국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먼저 인하해 차이가 더 벌어지면 원⋅달러 환율 상승과 자본 유출 등의 문제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기준금리와 주가는 어떤 관계가 있나요?
•
기준 금리와 주가는 보통 반비례 관계를 가집니다. 금리가 인상되면 주가는 내려갈 확률이 커요.
◦
투자자들의 경우, 기준 금리가 인상되어 대출 등 투자에 드는 비용이 늘어나는데, 안전한 예금 이자만으로도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으니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 수요가 줄어들어요.
▪
금리가 인상될수록 투자자들은 주식투자보다 예금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
최근 금리인하 기대감에 2024년 상반기 개인의 채권 순매수 금액이 23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어요.
◦
기업의 경우, 기업의 금융부채의 이자 부담이 늘어나기 때문에 투자를 줄이게 돼요. 투자를 줄인 만큼 실적도 줄어들 확률이 크고, 이는 주가 하락으로 이어집니다.
•
반대로 금리가 인하되면, 주가는 올라갈 확률이 커요.
◦
대출 금리와 예금 금리가 모두 낮기 때문입니다. 예금 이자가 낮으니 투자자들의 저축 비중이 줄어들고 투자 수요가 늘어나요.
•
그러나 금리와 주가가 항상 반대로 움직이는 것은 아닙니다.
◦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같은 하락장에서 주가와 금리는 동반 하락했어요.
◦
반대로 2003년~2007년까지의 강세장에서 주가는 금리와 동반 상승했습니다.
•
금리와 주가의 관계를 파악할 때는 국내외 경제 상황과 전반적인 경기의 흐름 등을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