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

AI 열풍에 왜 삼성 반도체가 주목 받나?

삼성전자 실적 추이

2023년 연간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보면 2022년과 비교했을 때 저조합니다. 하지만 2024년 매출과 영업이익 추정치를 보면 성장하는 추세를 볼 수 있어요. 이 추정치는 2024년 1분기 실적을 통해 그 가능성을 확인해주고 있습니다. 2023년 반도체 한파로 인해 영업이익은 굉장히 저조했지만 2023년 1분기부터는 영업이익이 조금씩 증가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특히 2024년 1분기에는 영업이익이 확 늘어났죠. 이러한 실적 수치 덕분에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이 개선되고 있다는 걸 추정해볼 수 있습니다.

AI 열풍에 왜 반도체가 인기인가?

반도체 시장이 주목을 받게 된건 AI 열풍으로 인한 영향이 큽니다. 오픈AI가 챗GPT를 세상에 선보인 2022년 12월 이후 전 세계에서는 AI를 다시 주목하기 시작했습니다. 테크기업들은 너도나도 AI 서비스를 출시했고 AI를 적용하기에 분주했죠.
AI가 확산하면서 반도체 수요도 늘어나게 됐는데요, AI와 반도체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 걸까요?
인간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어떠한 문제에 부딪혔을 때 유난히 빠르게 해결방법을 제시하는 사람을 본 적 있을 거에요. 이미 머릿속에 아는 것들이 많은 상황에서, 그 많은 지식들을 문제 상황에 맞게 잘 정리하고 필요한 부분을 조합할 수 있는 능력 덕분입니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도 마찬가지입니다. 사람이 질문을 하거나 명령을 내렸을 때, 학습한 것들을 바탕으로 현재 질문과 명령에 맞는 답을 할 수 있도록 조합하고 연산을 해야 하죠.
즉, 단순하게 보면, 방대한 양의 내용을 학습하고 기억하는 능력
사람이 명령을 내린 내용에 적합한 답변이 무엇인지 조합하고 연산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능력들은 반도체를 통해 이뤄집니다. 반도체의 성능이 좋을 수록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더 빠르게 처리하고 연산할 수 있는 것이죠.
생성형 AI의 경우 사람이 언제 어떤 명령을 내릴지 알 수 없으니 최대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학습하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반도체와 더 능력있는 반도체를 필요로 합니다.
그래서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고성능 데이터가 필요하고 HBM이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

HBM이 뭐에요?

최근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주가가 오른 배경 뒤에는 'HBM'이 자리잡고 있어요.
HBM(High Bandwidth Memory)은 컴퓨터의 메모리 반도체 중 하나로, 대역폭이 높은 메모리 칩을 말해요. 다른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며, 주로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사용돼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이 HBM 기술을 둘러싸고 1위 자리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죠.
HBM이 기존 메모리 반도체와 다른 점이 뭐에요?
반도체는 크게 연산과 데이터 저장으로 나눠집니다. 연산을 CPU, 저장을 메모리가 맡아요. 사람은 연산과 저장을 두뇌 안에서 한번에 할 수 있지만 반도체는 한번에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연산을 하는 반도체와 저장을 하는 반도체 사이를 데이터가 왔다갔다 하면서 작업을 처리하는데, 데이터가 왔다갔다하는 통로를 '대역폭(Bandwidth)'이라고 합니다.
AI 기술 발전으로 컴퓨터가 처리해야 하는 작업은 더욱 복잡해졌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는 연산과 저장 공간을 수 없이 왔다갔다해야 하다보니 대역폭이 중요해졌고. 그래서 HBM이라는 반도체가 등장한 겁니다.
기존 메모리인 GDDR은 대역폭을 늘리기 위해 기판 크기를 키우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효율성이 떨어졌요.
HBM은 적층 방식을 도입했어요. 메모리 트랜지스터를 쌓아서 기판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같은 면적에 더 많은 트랜지스터를 넣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통로인 대역폭의 크기도 커지게 되죠.
HBM은 SK하이닉스가 1등인가요, 삼성전자가 1등인가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주요 선두주자이지만 조금더 지켜봐야 합니다. HBM의 경우 복잡한 기술을 활용하다보니 설계와 생산뿐 아니라 '후공정 기술'이 중요합니다.
반도체는 웨이퍼를 제조하고 회로를 새기는 전공정 과정, 칩을 패키징하는 후공정 과정으로 나뉩니다. HBM의 경우 전공정뿐 아니라 후공정 기술도 중요합니다. 전공정은 이미 많은 발전으로 더 이상 차별화 기술을 선보이기엔 한계에 다다랐죠.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후공정 기술력은 SK하이닉스보다 높다는 입장입니다. 삼성전자는 주문형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사업도 영위하고 있다보니 안정적으로 생산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죠.
SK하이닉스도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지만 HBM과 같이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생산은 자체적으로 하기보다는 TSMC에 맡겨야 할 것입니다. SK하이닉스 입장에서는 TSMC가 삼성전자보다 파운드리 기술력이 더 높기 때문에 TSMC에서 생산하는게 더 안정적이라는 입장이죠.

(참고)반도체 기업 - 팹리스 - 파운드리 - IDM

삼성전자의 실적과 사업 전망을 위해서는 반도체를 모르고 지나갈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반도체는 용어도 어렵고 종류도 너무 많아서 헷갈리죠. 간단하게 정리해볼게요.
우선 반도체 기업부터, 아주아주 간단하게 정리해봅니다. 반도체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단순화하면, 반도체를 설계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산을 하는 겁니다.
이 과정에 따라 반도체 기업은 크게 팹리스(설계), 파운드리(생산), IDM(설계&생산)으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팹리스 기업은 설계만하고 파운드리 기업에 생산을 맡기는 거죠. 그래서 팹리스와 파운드리는 떼레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반도체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직접 설계를 하는 기업들도 많아지는데요, 애플, 구글, 오픈AI 등이 반도체를 만든다는 소식을 들어보신 적 있을 겁니다. 이들 기업이 반도체를 설계하고 TSMC나 삼성전자 등에 생산을 맡기는 거죠. TSMC와 삼성전자 비교 기사를 많이 보셨을 겁니다. 바로 이 파운드리 부문에 대한 비교인 거죠.
최근엔 인텔도 파운드리 사업을 복귀한다고 선언했었죠.

(참고)반도체 종류

반도체 종류에 대해서 보겠습니다. 반도체는 크게 나눠서 보면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 반도체가 있어요. 메모리 반도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는 업무를 처리하는 반도체에요.

메모리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에서도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등 전원이 꺼져도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반도체를 플래시메모리, 전원이 꺼지거나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저장된 정보가 지워지는 D램이 있어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들이 시장 우위를 점하고 있는 시장이 바로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비메모리 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가 아닌 반도체들을 말하는데요, 스마트폰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모바일AP,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에서의 ‘두뇌’ 역할을 하는 CPU, 그리고 그래픽을 처리하는 GPU 등의 반도체가 있어요.
이외에도 전기나 배터리 등으로 구동되는 모든 기기에는 반도체가 필요하죠.
(참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