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어요. 이에 2008년 약 28억 원을 들여 만들어 ‘혈세 논란’에 휩싸였던 함평군의 황금박쥐상이 금 값만 260억 원을 돌파하며 ‘함평의 비트코인’으로 주목받기도 했죠.
그런데 이 금값이 우리나라에서 더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것, 알고 있었나요? 금값에 붙은 ‘김치 프리미엄’ 때문이라는데요. 김치 프리미엄, 비트코인이 한창 상승할 때 들어봤던 것 같긴 한데… 무슨 뜻인지,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 건지 알쏭달쏭하다면 주목해 주세요. 제용이가 쉽게 정리해 줄게요!
국제 가격보다 높은 국내 금값
•
탄핵정국과 트럼프 관세전쟁으로 인해 대내외 경기 상황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자,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습니다.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을 찾는 투자자들이 많아졌죠.
◦
이에 금값은 트럼프발 관세전쟁 발발 이후 2월 4일(현지시간) 온스당 2800달러 선을 돌파한 2845.48달러에 거래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어요.
◦
국내에서는 2025년 새해 들어 국내 상장 금 ETF 6종에 2296억 원의 자금이 몰리기도 했죠. 14일 기준 금 ETF의 순자산총액은 1조 3382억 원을 기록했어요.
◦
특히 투자자들은 국내 유일 금 현물에 투자하는 ETF인 ‘ACE KRX금현물’을 연초 이후 약 1241억 원 순매수했는데요. ACE KRX금현물의 1개월 수익률은 24%를 넘기기도 했습니다.
•
그런데 이렇게 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지금, 국내 금 시세가 국제 금 시세보다 높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요.
◦
2월 14일 종가 기준 KRX 금시장에서 1kg짜리 금 현물 1g당 가격은 16만 3530원을 기록했어요. 이 금액은 국제 금 시세인 13만 6130원보다 20.1% 높은 가격으로, 괴리율(가격차)은 120.1%였습니다.
▪
2014년 KRX 금 시장이 개설된 이후 국내 금 현물 가격이 국제 시세와 20% 이상 벌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에요.
◦
이 여파로 ACE KRX금현물의 괴리율도 2월 들어 급등했어요. 4일부터 괴리율이 1%를 계속해서 초과했고, 5일에는 2.15%까지 오르기도 했죠.
▪
ETF의 괴리율은 ETF 시장 가격과 ETF 실시간 기준 가격의 차이를 비율로 표시한 투자위험지표인데요. 괴리율이 1 이상이라는 것은 ETF 가격이 실제 펀드가 담고 있는 투자대상 자산의 가치보다 고평가되었다는 뜻이에요.
•
같은 금인데 우리나라에서는 국제 시세보다 20% 나 높은 가격에 팔리고 있다니 놀랍지 않나요? 우리나라 금이 20% 더 비싼 이유. 바로 금 값에 일명 ‘김치 프리미엄’이 붙었기 때문이라는데요. 바로 살펴볼게요.
‘김치 프리미엄’이란?
•
일명 ‘김프’로 불리는 김치 프리미엄은 한국인의 ‘김치’와 프리미엄의 합성어예요. 이 용어는 가상자산 시장에서 쓰이던 용어였는데요. 투자자들의 수요를 공급 물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해외 가상자산 거래소보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더 비싸게 거래되자 생긴 자조적 표현이었어요.
•
가상자산에 대한 과열된 투자 수요를 흡수하며 가상 자산의 가격이 더 높아진 건데요. 이 현상이 세계적으로 알려지며 외신들도 사용하는 단어가 됐죠.
◦
2017년 말~2018년 초, 비트코인이 급등하며 시장 활황을 보이자 김치 프리미엄이 50% 치솟은 전적이 있어요.
•
이 김치 프리미엄은 투자자들에게는 불리하게 작용합니다. 구매할 때는 더 높은 가격에 가상자산을 구매해야 하는데, 가상자산 가격이 조정을 받을 경우 김치 프리미엄 폭만큼 가격이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죠.
◦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된 후 가상자산이 폭락했었는데요. 이때 해외 거래소 시세가 한국 거래소 시세보다 비싼 ‘역 김치프리미엄’ 현상이 최대 20%대까지 관측되기도 했어요.
•
가상자산에서 주로 보이던 이 현상이 최근 금으로 옮겨가면서 금값도 김치 프리미엄을 적용받게 됐는데요. 이유는 가상자산과 마찬가지로 금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이에요.
•
꾸준히 금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는 데다가 세계적인 품귀 현상으로 인해 중국 등 주요 생산국이 수출을 제한하면서 국내 금 공급이 투자자들의 높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한 거죠.
◦
전통 시장이나 지역 상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 상품권으로 할인받아 금을 구입한 사람이 늘어나 김치 프리미엄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어요.
▪
온누리상품권이 설특판으로 15% 할인을 하면서 금을 최소 5% 이상 싸게 살 수 있게 됐기 때문이죠.
◦
2월 12일, 한국조폐공사는 골드바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금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물량이 부족해졌기 때문이에요.
▪
5대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기준, 2월 1~14일까지 골드바 판매액은 총 502억 1328만 원어치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어요.
•
2월 17일, 국내 금 가격은 김치 프리미엄이 붙었다는 지적에 3.35% 하락하며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김치 프리미엄은 여전한 상태예요. KRX금시장에 따르면 이날 국내 금 현물은 3.38% 내린 1g당 15만 8000원에 마감했으나 국제 시세보다 18% 더 높은 상태입니다.
금값 전망은?
•
전문가들은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로 인한 금값의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요. 골드만삭스는 연말 금값 전망치를 온스당 3100달러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죠.
◦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금융 시장 불안정성 지속
◦
높은 관세로 인한 미국 내 수입품 가격 상승
◦
이를 통한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 증가
◦
달러 가치, 금리 하락 가능성
◦
낮은 정기예금 금리
•
다만 현재 금값 상승에는 투기적인 성격도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최근의 김치 프리미엄은 점차 해소될 것으로 보여요. 금 수입이 원활해지면 공급이 늘면서 점차 국제 시세와 비슷해질 테니까요.
•
주의할 점은 금이 안전자산이기는 하지만,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나면 폭락을 겪을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금 투자를 원한다면 분산투자 등을 통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요.
지금은 금 투자, 어떻게 해야 할까?
•
실물 투자보다는 금융 상품 위주로
◦
골드바는 매수 시 약 15% 가량 수수료가 발생하고, 매도 시에도 일정한 수수료가 붙어요. 보관비용도 발생하고요. 금값이 수수료와 세금 이상으로 올라야 수익이 발생하므로 장기 보유 시 기회비용이 증가할 수 있어요.
◦
실물 금보다는 비교적 수수료가 낮고 거래가 쉬운 KRX 금 현물, 금 ETF, 골드뱅킹 등의 다양한 투자 상품들을 활용한 적립식 분할매수 방법이 추천됩니다. 단, 투자 방법에 따라 세금이 다르니 꼭 확인하세요!
▪
•
해외 상품 투자
◦
현재 국내 금 가격이 과열된 상태이므로 국제 금 시세 대로 투자할 수 있는 해외 금 ETF에 투자하는 것도 추천됩니다.
◦
미국 주식 거래가 가능한 증권사 계좌를 이용해 iShares 및 SPDR 금 ETF 등에 투자할 수 있어요. 단 해외 ETF 투자 시, 연간 매매차익 250만 원 이상일 경우 양도소득세 22%가 부과된다는 점은 주의해야 합니다.
•
금 대신 은
◦
은이 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은으로 옮겨가고 있는데요. 은은 산업용 수요 비중이 높으므로 인플레이션 헷지 성과가 우수해요. 트럼프 관세정책, 중국 경기 부양책 등으로 앞으로의 전망도 긍정적이고요. 개인투자자가 97억 원어치 사들인 KODEX은선물(H)는 올해 들어 12.52% 상승했어요.
◦
다만 골드바 품귀 현상이 실버바로까지 번지면서 실버바 또한 2월 14일부로 판매가 중단됐습니다.
•
현재 국내 금 값이 폭등한 상태인 만큼, 포모(FOMO. 투자에 참여하지 못해 뒤처진다는 불안감) 조짐에 휩쓸리기보다는 국제 시세와 비교하며 상황을 관찰하는 자세도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