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비상계엄 후폭풍 겪는 한국 경제

목차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이 이어지며 국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미치고 있어요. 코스닥은 하루에만 5% 넘게 폭락했고 원화 가치는 2년여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탄핵 국면이 정리되기 전까지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현재 상황을 함께 살펴보도록 할게요!

경제 불안 증폭시킨 계엄 선언

12월 3일 오후 10시 30분께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습니다. ‘반국가 세력 척결’이 이유였는데요.
국회가 범죄자 집단의 소굴이 되어 국가의 사법, 행정 시스템을 마비시키고 있으며, 주요 예산안을 대폭 삭감해 국가 본질의 기능을 훼손하고 있다는 거예요.
비상계엄 선포 후 4일 새벽 1시, 국회가 비상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하면서 계엄 선포 약 6시간 만인 4일 새벽 4시 27분께 해제되었는데요.
윤 대통령이 선언한 비상계엄의 후폭풍으로 인해 현재 한국 경제는 어마어마한 대가를 치르고 있습니다.

증시 폭락

12월 9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7.58포인트(2.78%) 하락한 2360.58에 마감했어요. 이는 글로벌 증시가 일제히 급락한 8월 5일 블랙먼데이(장중 최저가 2386.96)보다 더 낮은 수치로, 연중 최저치입니다.
코스닥도 34.32포인트(5.19%) 내린 627.01에 거래를 마쳤어요. 2020년 4월 21일 이후 4년 8개월 만에 630선을 내준거예요.
국내 증시는 이날 시가총액이 73조 원 감소했어요.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의 합산 시총은 2246조 원으로 계엄 전인 3일(2391조 원)과 비교해 145조 원 급감했습니다.
주요 국제투자은행(IB) 또한 ‘한국 주식에 대한 노출액을 줄이는 조정을 즉시 시행해야 한다’, ‘정치 경제적 불확실성이 외국인 자금 흐름과 원화 약세를 초래할 것’ 등의 의견을 냈어요.

국고채 금리 상승

국고채 금리란 정부가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국채의 이자율인데요. 국고채 금리가 상승하면 대출 금리도 함께 올라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계엄을 선포한 다음 날인 4일 일제히 올랐지만 더 크게 확대되지는 않았어요.
9일 국고채 3년물 최종 호가 수익률은 전 거래일보다 0.041%포인트 하락한 연 2.579%를 기록했어요. 오전에 2.633%을 나타냈지만 오후에는 내림세를 보이면서 오히려 3일 장 마감(2.585%) 때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9일 정부가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통해 “필요 시 국고채 긴급 바이백(조기 상환)과 한은의 국고채 단순 매입을 즉시 시행하겠다”라고 언급하며 채권시장 달래기에 나선 영향이 컸다는 해석이에요.
문제는 앞으로 국고채 금리 추가 상승의 가능성이 높다는 점인데요. 확장 재정이나 추가경정예산으로 국고채 발행량이 증가하면 국고채 금리는 상승(국채 가격 하락)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에요.
국고채 발행량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국가 부채가 그만큼 늘어난다는 의미예요.
국고채 금리가 상승하면 국내 회사채와 금융채도 함께 상승해 대출 금리가 상승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요. 금리 상승은 민간투자와 소비가 위축되는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원·달러 환율 급등

9일(오후 3시 30분) 기준 원·달러 환율(1437.0원)은 비상계엄 사태 전인 3일(1402.9원)에 비해 2.4%나 급등했어요. 주간 종가 기준으로 2022년 10월 24일(1438.7원) 이후 최고치이자 나흘 연속 연고점을 기록한 건데요.
환율 급등은 원화 가치 하락에서 비롯됐어요. 국내 정치 상황이 불안해지다 보니 국내 금융시장에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외국인 투자자를 비롯해 국내 투자자들도 자금을 빼내가고 있기 때문이에요.
고환율은 수출 업체에 일부 긍정적 효과가 있기도 하지만, 수입 물가를 올리고 외국인 투자자 이탈에 따른 불안심리 확산을 불러올 수 있어 심각한 경제 위기를 초래할 수 있어요.
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1% 오르면 소비자물가를 1년 동안 0.02~0.03%포인트 끌어올린다고 보고 있습니다.
전문가를 중심으로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450원, 높게는 1500원 선까지 상승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는 점을 고려하면 환율이 물가에 끼치는 영향이 더 증폭될 수 있어요.
이는 환율 변동에 따라 물가 상승률이 0.1% 포인트 확대되는 상황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는 의미인데요.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는 1년 전보다 1.5% 오르며 3개월 연속 1%대를 유지했어요. 하지만 수입 물가는 환율로 인해 상승한 모습을 보였는데요, 한은이 지난달 발표한 10월 수입 물가지수는 전월보다 2.2% 올라 석 달 만에 반등했어요.
계엄 선포 전에도 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미국 우선주의’로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돌파했었는데요, 높은 환율에 국내 정치 상황이 기름을 붓는 셈이 되었죠.
고환율로 석유류 가격도 급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9일 서울 평균 휘발유 가격은 ℓ당 1709.18원으로 전일보다 6.04원 올랐어요.
한국은 원유를 100% 수입하기 때문에 환율이 급등하면 석유류 가격이 바로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금융 안정을 위한 정부 비용 증가

불안한 금융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정부가 치러야 하는 비용도 급증하고 있어요.
한국은행이 2주 동안 누적 기준으로 환매조건부채권(RP) 151조 원을 매입하기로 한 것이나 채권시장안정펀드 같은 지원책을 가동하는 데 따른 비용이 큰 상태입니다.
RP는 채권발행자가 일정 기간 후 금리를 더해 다시 사는 조건으로 파는 채권이에요. RP를 매입하는 것은 시장에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기 위함입니다.
누적 규모만 151조 3400억 원에 달하는데 최종 규모가 상황에 따라 커질 수 있어 사실상 ‘무제한’ 유동성 공급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요.
코스피의 붕괴를 막기 위해 대규모 연기금이 투입됐어요.
연기금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9일까지 8423억 원 규모의 주식을 순매수했어요. 외국인과 개인투자자들의 매도세로 인한 코스피의 추락을 막으려는 건데요.
연기금은 연금기금을 의미합니다. 국민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 등을 말하는데요, 이 기관들은 국민이 납부한 연금을 운용해 자금을 불리죠. 규모가 크다 보니 증권시장에서 대표적인 기관투자가입니다. 국내 증시가 불안할 때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외국인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1조 원을 순매도했고, 개인 투자자들도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을 합쳐 1조 원을 팔아치웠습니다.
현재 연기금이 대규모 자금을 쏟아 부으며 방어에 나섰으나 증시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어요. 국민들의 연기금 고갈에 대한 우려도 크고요.
기관 매수세에 11일, 코스피는 2440선까지 회복했으나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입니다.

소비 심리 위축

소비자·기업 심리가 함께 위축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 앞으로 어떻게 정국이 이어질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자 기업과 개인 모두 지갑을 닫고 있죠. 이미 경제주체들의 경기 심리는 바닥에 가깝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요.
한은에 따르면 경제심리지수는 지난달 기준 93.8을 나타냈는데요. 이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가결됐던 2016년 12월(97.2)보다도 낮은 수치입니다.
단체 회식이나 송년회 등 각종 행사 등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크리스마스, 송년회 등 연말 대목을 기다려왔던 자영업자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어요.
비상계엄 사태로 우리나라 경제가 심각한 위기에 빠졌습니다. 12월 10일 더불어민주당은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습할 유일한 방안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뿐이라며 윤 대통령 탄핵 후속대책 준비에 착수했어요.
(관련기사)
개인 1.2조 패닉셀…탄핵정국發 '블랙먼데이' (2024.12.09)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1ZJYVGN
시총 144조 증발에 환율 2.4% 급등…물가 치솟고 내수 곤두박질(2024.12.09) https://www.sedaily.com/NewsView/2DI1ZCU7R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