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금으로 해외여행 가는 꿈을 꾸었습니다… 5만 원이던 제용전자 주가, 7만 원으로 올랐길래 10만 원 갈 줄 알고 홀딩했더니 되려 3만 원으로 떨어진 적 있다?! 투자자라면 모두 한 번씩은 경험해 봤을 텐데요,
이번에는 욕심을 내려놓기로 마음먹었지만 적절한 순간에 매도하는 건 왜 이리 어려운지. 주식을 들이는 것보다 떠나보내는 것이 더 어려운 친구들을 위해 제용이가 매도 잘하는 방법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투자자라면 꼭 정독하기를 추천드려요!
목표 수익률 정하기
•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의 아주 유명한 투자 원칙이 있죠. 투자 원칙 1) “절대 돈을 잃지 마라”. 투자 원칙 2) “1번 원칙을 절대 잊지 마라”
•
무조건 수익을 내는 매도를 원한다면, 주식을 매수할 때부터 목표 수익률을 정해보세요. 처음부터 ‘제용전자가 5% 올랐을 때 매도하겠다’는 원칙을 세우고 매수를 하는 거죠.
•
초보 투자자들은 주식을 매수한 시점부터 내가 매수한 가격을 기준으로 이익과 손실을 생각하기 때문에 주가가 조금만 움직여도 민감하게 반응하기 쉬워요. 그러나 실현 가능한 목표 수익률을 미리 세워둔다면, 주가의 급등락에 흔들릴 필요가 없습니다.
•
초보자들이라면 정기 예금 수준보다 좀 더 높은 수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해요. 11월 현재 기준으로 5대 은행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평균 2.50~3.42% 수준입니다. 목표 수익률을 달성했다면, 매도해서 수익을 확정 지어보세요.
•
단, 상황에 따른 수익률 조정도 필요한데요. 기업의 실적이 좋고, 앞으로도 꾸준히 우상향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처음 설정했던 수익률을 좀 더 적극적인 수준으로 조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
반대로, 기업의 호재가 단기적이었다거나 시장 변동성 등 대내외로 여러 위험요소들이 많이 남아 있다면 목표 수익률을 현실적으로 조정하여 좀 더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겠습니다.
이동평균선 활용하기
•
이동평균선, 일명 이평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값을 이은 선을 말해요. 주가가 이평선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로, 이평선 아래에 있으면 약세로 봅니다.
•
이평선은 5일(1주일), 20일(한 달), 60일(세 달), 120일(반기)의 유형이 있습니다. 5일~20일선은 단기 이평선으로, 60일선은 중기 이평선으로, 120일선은 장기 이평선으로 구분해요.
•
단기 이평선은 시세 전환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나 주가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해요. 장기 이평선은 주가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지만 현재 주가 시세를 빠르게 파악하기는 어렵죠. 그래서 장⋅단기 이평선을 함께 고려해 주가의 전반적인 움직임이나 방향성 등을 분석합니다.
•
해당 종목이 상승세라면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 위에 있어요. 아래로 갈수록 장기 이평선이 위치하겠죠. 이렇게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태를 정배열 상태라고 하고, 매수하기 적절한 시기로 판단해요.
•
반대로 장기 이평선이 단기 이평선보다 위에 있다면, 현재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뜻이에요. 아래로 갈수록 단기 이평선이 위치합니다. 이는 역배열 상태라고 하고, 매도하기 적절한 시점으로 봅니다.
•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위에서 아래로 뚫고 내려갈 경우, 강력한 약세 전환 신호인 ‘데드크로스’로 보는데요. 이때는 최근 주가가 하락세로 접어들어 좋은 매도 기회로 판단합니다.
•
이렇게 이동평균선은 시장의 움직임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예측할 수 있어 매매에 도움을 주지만, 주가의 과거 움직임에 따라 산출되기 때문에 주가의 움직임을 바로 반영하지 못하고 다소 느리게 반영한다는 한계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손절매 기준 잡기
•
손절매(손해를 잘라버리는 매도)란 주가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졌을 때, 더 큰 손실을 줄이기 위해 어느 정도의 손실을 입고서라도 주식을 매도하는 전략이에요.
•
통상 주가가 떨어지면 손실 회피 심리가 발동해 매도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기약 없는 물타기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언젠가는 회복할 것이라는 기대로 물타기를 하는 것보다, 매도해서 손실을 확정 짓는 게 더 고통스럽기 때문이죠.
•
그러나 주가가 약세를 보이는데 기업의 중장기적 계획을 봤을 때 미래에 반등할지 확신이 없다면, 냉정하게 손절할 줄도 알아야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어요. 기업에 투자하는 이유가 훼손되었다면 빠르게 투자 자금을 회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손절매 기준은 모든 투자자마다 다르지만, 총자산의 3%에 이르면 손절하라는 ‘3%룰’이 널리 쓰이고 있어요. 총자산이 1000만 원이라면, 30만 원까지의 위험만 감수하라는 거예요.
•
전문가들은 목표수익률의 절반을 권고하기도 하는데요. 손절매 기준은 목표수익률보다 낮아야 수익률을 높일 수 있으니 상황에 맞는 손절매 기준을 꼭 세워보세요.
분할매도
•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매도를 어려워합니다. 주가가 상승세라면 더 오를 것 같다는 욕심이 생기기 때문이고, 하락한다면 조만간 다시 반등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물타기를 하게 됩니다.
•
이럴 때는 분할매도로 접근하는 것을 추천해요. 목표수익률에 가까워졌을 때 어느 정도를 매도하고, 추가 상승 시 또 매도에 나선다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겠죠. 반대로 주가가 하락한다고 하더라도 이미 어느 정도의 수익을 실현해놓았기 때문에 손실을 방어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분할 매도는 최대 3번까지면 충분한데요, 5:5 또는 2:3:5 등 일정 비율씩 매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일부를 매도하고 상황을 지켜본 뒤 나머지 주식도 매도하는 거죠.
•
그러나 늘 분할매도가 좋은 것은 아니에요. 앞으로 명백한 하락이 예상될 때는 한 번에 매도하는 것이 오히려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죠. 이럴 때는 한 번에 모두 매도하고 또 다른 매수 기회를 잡는 것이 좋습니다.
•
오늘은 이렇게 다양한 매도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이 방법들은 매도 시기를 잡는데 참고가 되어줄 뿐, 모든 매도에는 기업 본연의 펀더멘탈 (기초체력)에 대한 이해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